본문 바로가기

송라

기관지성, 심장성 천식에 의하여 호흡이 곤란할 때 사용하는 우황청심환 동인당 우황청심환 우황청심환이란? 우황청심환은 우황을 비롯한 30종의 약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우황은 소, 산양, 영양등의 반추류의 담낭속에 병적으로 생긴 응결물을 말합니다. 사람으로 치면 쓸개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이중에서 우황청심환에 사용되는 우황은 소에서 나오는 것을 사용합니다. 소의 우황이 약효가 가장 좋다고 합니다. 이러한 우황청심환의 맛은 약간 쓰고 그 성분은 콜릭산, 빌리루빈, 에르고스테롤, 비타민 D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 우황청심환의 효능 우황청심환은 동의보감에서는 현대의학상 뇌졸중의 여러 증상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즉, 구안옹색, 담연괘사, 수족불수등의 중풍으로 인한 의식장애로 고열, 의식장애, 번조, 경련 등이 있을 때를 목표로 하는 약입니다. 한마디로 요약하.. 더보기
뽕나무 상황버섯,뽕상황 효능 복용법 사용법 뽕나무 상황버섯,뽕상황, 상황버섯이란? 상황버섯은 소나무비늘버섯과에 속하는 버섯으로서 뽕나무 줄기에 자생하는 버섯이다. 간혹, 우리나라에서 야생되는 것을 드물게 볼수 있는 데, 강원도 홍천, 강릉, 정선등지에서 드물게 채취할수 있다. 야생되는 버섯은 3∼4년동안 영년으로 생장되며 갓의 두께가 두꺼운 것일수록 좋다. 상황버섯의 형태적 특징 상황버섯은 뽕나무의 그루터기에 자생하는 노란색의 버섯으로 그 모양은 초기에는 노란 진흙덩이가 뭉친것 같은 형태로 유지되다가 다 자란후의 모습은 나무 그루터기에 혓바닥을 내민 모습이어서 수설 이라고도 한다. 혓바닥 같은 윗 부분이 상황의 품종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나지만 진흙과 같은 색깔을 나타내기도 하고, 감나무의 표피와 같이 검게 갈라진 모습 등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 더보기
인체의 정기를 보하고 양기를 튼튼하게 하는 육종용 육종용,기름육종용 씹기좋은것 나른한것 딱딱한것 두가지로 나뉩니다 가격은 가을육종용 나른한것이 더욱 비싸답니다 딱딱한건 봄육종용,나른한것은 기름육종용 가을에 채취합니다 육종용비위, 음기, 정기, 징가, 붕루, 대하, 혈뇨 이명으로는 肉蓯蓉(육종용), 肉松容(육송용), 黑司命(흑사명)이 있다. (약재상에서 중국산을 살 수 있다.) 줄기를 약으로 쓰며, 맛은 시고 달고 짜다. 신장과 대장에 이르며, 五勞(오로)와 七傷(칠상)을 치료하고 脾胃(비위)를 보하며, 體幹(체간)의 寒熱痛(한열통)을 치료하고 五臟(오장)을 기르며, 陰氣(음기)를 강하게 하고 精氣(정기)를 북돋우며, 자손을 많게 하고 부인의 癥瘕(징가)를 치료한다. 오래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진다. 음기가 허하여 열이 위로 오르거나, 변비가 있는 사람은 .. 더보기
보신장양, 강요슬(强腰膝), 윤장(潤腸)하는 쇄양 쇄양 원 산 지: 중국 내몽골 ,감숙성 ,신강 등 지역 주효능효과 : 쇄양(鎖陽)은 육종용의 한 종류인데, 효능은 같으며 쇄양의 약효는 육종용보다 백배나 세다고 한다.음위증, 위궤양, 백대하, 2도 자궁하수, 위통, 위산과다, 보신장양(補腎壯陽), 강요슬(强腰膝), 윤장(潤腸), 양위(陽萎), 활정(滑精), 요퇴산연(腰腿酸軟), 장조변비(腸燥便秘), 혈뇨, 허리와 무릎이 저리고 아픈데, 유정, 신을 보하고 장을 촉촉하게 하는데 특효가 있다. 사용방법 : 1. 차로 마시는 법- 3일분 쇄양을 70~100g 정도를 물에 약 1시간정도 담군 후 약한 불에 20분 정도 달이고 푹 우려서 용기에 담아 냉장보관하고 수시로 따끈하게 데워서 마신다.또는 매일 20~30g 정도를 20분 정도 달이여 수시로 마신다. 2... 더보기
파상풍균 등 갖가지 세균에 대한 저항력이 있는 홍경천 백두산 홍경천,티벳산 홍경천 홍경천이란? 홍경천(紅景天)이란 러시아. 중국. 유렆. 아메리카의 높은 산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 식물이다. 돌나무과(Crassulaceae)의 들꽃속(Rhodiola)에 속하는 이 식물은 참돌꽃이라는 별칭을 갖고 있으며 뿌리와 줄기를 민간약용으로 사용 한다. 홍경천은 어디에서 자라나? 홍경천은 우리나라에선는 북부지방의 백두산, 포태산, 낭림산의 산꼭대기 부근 바위틈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특히 백두산의 해발 1천8백 미터에서 2천3백 미터 사이의 이끼 낀 원시림 속 자작나무숲과 협곡의 바위틈에서 많이 자란다. 참돌꽃이라고도 부르며 비슷한 약효가 있는 식물로 돌꽃, 기린초, 애기기린초, 낙지다리, 큰꿩의비름, 섬기린초 등이 우리나라의 중부와 북부지방에 자라고 있다. 홍경.. 더보기
진통, 진양, 수렴, 소염 작용이 있는 호랑이연고 호랑이 연고는 까지거나 찢어진 상처에 바르는 외용제가 아니다. 진통, 진양, 수렴, 소염 작용이 있는 일반의약품으로 인정하고 있다. 따라서 타박상, 멍든 상처, 근육통, 벌레물린데, 긴장성 두통 등에 효과가 탁월한 외용제인 것이다. 또한 d-캄파와 I-멘톨 함량이 높아 코가 막혔을 때에도 도움이 된다고 한다. 호랑이연고에 대한 상식 바로알기 ........... 호랑이 연고는 그 이름 때문에 호랑이 기름 혹은 호랑이 뼈로 만든 제품이라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래서 일부 사람들은 호랑이 연고 때문에 희생된 호랑이를 생각하기도 하지만 애석하게도 호랑이 연고에는 호랑이 성분이 단 1그램도 들어가지 않는다. 이 연고는 중국의 후원후 형제가 개발한 것으로, 버마 랭군에서 약초 판매를 하던 후원후 형제의 아버지.. 더보기
면역력 활성화, 항암효과, 고혈압 억제효과있는 꽃송이버섯 꽃송이버섯 전세계에 1과 1속 2종이 보고되어있습니다. ◈ 꽃송이버섯의 학명(Sparassis crispa Wulf.ew Fr.)으로 불리며, 일본명은 하나비라타케(はなびらたけ), 영어로는 콜리플라워 머쉬룸(cauliflower mushroom 또는 crested sparassis), 중국어로는 수구심(綉球蕈:수놓을 수, 공 구, 버섯 심)이라고 불립니다. ◈ 자실체는 하얀 꽃 모양으로 10~25cm 정도 크기의 꽃양배추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색은 전체적으로 담황색 또는 흰색이고 두께는 1mm 정도로 평평하며 갓 둘레는 물결 모양인데 표면은 백색에서 담황색의 색깔을 지니고 있습니다. 꽃송이버섯은 가을에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너도밤나무, 메밀잣나무 등 침엽수 또는 활엽수의 뿌리 부근에 땅위나 그루터.. 더보기
여우부적,암여우부적의 신비한효능 여우부적,암여우부적, -애인이 없으신 여성분들 -비지니스상 여러사람과 교류가 필요한 분 -서비스업 종사자분 -금전운상승 필요하신분 -사람의 환심을 사고픈 분 -이성이 바람나서 돌아오지 않는경우 여우부적은? 여우는 한국,일본,중국 등 각 나라의 민화에 등장하는 동물로서, 각종 조화를 피우는 동물로 유명하다. 암여우의 생식기를 잘라서 몸에 지니고 다니면 다른 이성의 마음을 사로잡거나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람을 만날때 탁월한 효과를 본다고 알려져 있다. 조선시대 궁녀들이 왕과의 동침을 유도하기 위해 여우를 사용하여 신분 상승을 꾀하기도 했다고, 각종 민화집이나 고서,실록 등에도 기록이 되어 전해질 만큼 유명한 일화이다. 여우같은 인간, 대롱여우, 구미호 등 각 나라마다 여우와 관련된 신비한 이야기가 많..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