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효능효과 : 쇄양(鎖陽)은 육종용의 한 종류인데, 효능은 같으며 쇄양의 약효는 육종용보다 백배나 세다고 한다.음위증, 위궤양, 백대하, 2도 자궁하수, 위통, 위산과다, 보신장양(補腎壯陽), 강요슬(强腰膝), 윤장(潤腸), 양위(陽萎), 활정(滑精), 요퇴산연(腰腿酸軟), 장조변비(腸燥便秘), 혈뇨, 허리와 무릎이 저리고 아픈데, 유정, 신을 보하고 장을 촉촉하게 하는데 특효가 있다.
사용방법 :
쇄양은 건조한 모래땅 지대에서 자라고 대부분 백자(白刺: 남가새과 식물 Nitraria sibirica Pall)의 뿌리에서 기생한다.쇄양은 한국에 없다.중국의 신강(新疆), 감숙(甘肅), 청해(靑海), 내몽고(內蒙古), 영하(寧夏) 등지에 분포되어 있다.
봄과 가을에 채취하는데 봄에 채취한 것이 더 좋다. 파내어 꽃차례를 버리고 모래땅에 절반 정도 파묻고 햇볕에 말린다. 일부 지역에서는 신선할 때에 얇게 썰어 햇볕에 말린다.흙이나 이물질을 버리고 씻어 속에 물이 들어가게 하고 썰어 햇볕에 말린다.
[성미]
맛은 달고 성질은 따뜻하다.
1, <본초연의보유>: "맛은 달다."2, <본초강목>: "맛은 달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다."
3, <본초구신>: "맛은 달고 짜며 성질은 따뜻하다."4, <영하주초약수책>: "맛은 달고 떫으며 성질은 따뜻하다."
[귀경]간(肝), 신경(腎經)에 작용한다.
1, <뇌공포제약성해>: "신경(腎經)에 들어간다."2, <옥추약해>: "족궐음간경(足厥陰肝經)에 들어간다."
3, <본초구진>: "신(腎), 대장경(大腸經)에 들어간다."
[약효와 주치]
신(腎)을 보하고 장(腸)을 촉촉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위, 혈뇨, 혈고(血枯)에 의한 변비, 요슬위약(腰膝痿弱)을 치료한다.
1, <본초연의보유>: "음기(陰氣)를 보양한다. 허(虛)로 인한 대변 조결(燥結)을 치료한다."2, <본초강목>: "윤조양근(潤燥養筋)하며 위약(痿弱)을 치료한다."
3, <본초원시>: "음혈허화(陰血虛火)를 보양하며 성기능을 강하게 하고 정(精)을 수렴하며 음정(陰精)을 돋우고 수(髓: 골수)를 보익한다."4, <내몽고중초약>: "음위, 유정, 요퇴산연(腰腿酸軟), 신경 쇠약, 노년 변비를 치료한다."
내복: 6~12g을 물로 달이거나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졸여서 약엿으로 하여 복용한다.
[배합과 금기]
1, <본초종신>: "설사, 발기는 쉽게 하지만 정(精)이 고(固)하지 않는 사람은 사용하여서는 안 된다."
2, <득배본초>: "대변이 활(滑)하며 정(精)이 고(固)하지 않는 사람, 화기(火氣)가 성(盛)하여 변비가 있는 사람, 쉽게 발기하는 사람, 심허기창(心虛氣脹)한 사람은 모두 금해야 한다."쇄양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쇄양(鎖陽)]
형태: 다년생의 육질이며 기생(寄生)하는 초본으로 높이는 15∼100cm이다. 줄기는 원주상(圓柱狀)으로 어두운 홍자색(紅紫色)이며 기부(基部)는 팽대되어 있다. 잎은 작고 인편(麟片)모양이며 흩어져서 난다. 수상화서(穗狀花序)는 정생(頂生)하고 막대기 모양이며, 어두운 자색(紫色)의 작은 꽃이 조밀하게 나고, 인편상(麟片狀)의 포편(苞片)이 덮어 씌워져 있으며, 수꽃의 꽃잎은 1∼6개로 선상(線狀)이고 길이는 3∼5mm이며, 수술은 1개이고, 암꽃의 꽃잎은 막대기 모양이다. 열매는 견과(堅果)로 구형(球形)이고 매우 작다.
분포: 건조한 밭과 소금을 함유한 모래 지역에서 난다.중국의 내몽고(內蒙古), 영하(寧夏), 신강(新疆), 감숙(甘肅), 청해(靑海)에 분포한다.
채취 및 제법: 봄에 채취한 후 화서(花序)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리거나 절단하여 햇볕에 말린다.
성분: 줄기는 anthocyanin, triterpenoid saponins, tannin, proline.
기미: 맛은 달고 성질은 따뜻하다.
효능: 보신장양(補腎壯陽), 강요슬(强腰膝), 윤장(潤腸).
주치: 양위(陽萎), 활정(滑精), 요퇴산연(腰腿酸軟), 장조변비(腸燥便秘).
용량: 하루 4.5∼15g을 물로 달여서 먹는다.참고문헌: 회편(滙編), 하권 633면.]
더 많은 약초는 아래 참조하세요
홈페이지 http://www.dauml.com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