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뇌삼

만성감염과 간경화에 효과좋은 삼칠 삼칠근,삼칠 삼칠(三七) 삼칠이라고도 하는 전칠은 옷나무의 끈적끈적한 점물(黏物)과 같다 해서, 또는 생긴 형태로 보아 이름지어진 것으로 본초강목(本草綱目)는 기엽좌삼우사(其葉左三 右四)로 삼칠(三七), 금불환(金不換)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돈을 줘도 못산다 바꿀 수 없다는 희귀한 약재로 여겼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입니다. 이밖에 본초용법(本草用法)에는 삼삼칠(蔘三七), 당삼칠(毫三七), 신씨본초학(申氏本草學)에는 죽절삼칠(竹節三七), 야삼칠(野三七)이라 기록하고 있습니다. 전칠은 이렇듯 다양한 異名이 있으며 중국의 여러곳에서 나오지만 운남성의 문산에서 나오는것을 최고로 알아줍니다 효능 지혈(止血), 산어혈(散瘀血), 토혈(吐血), 변혈(便血), 혈붕(血崩), 외상출혈(外傷出血), 각혈(咯血), 수혈(腄血).. 더보기
부기를 없애주고 기와 혈을 조절하며 혈관을 풀어주는 해마 - 해마(海馬)의 효능 - 중의학에서 나오는 중약재 정보 - 해마(海馬)의 효능 - 해마는 약재로도 특별한 효능을 지니고 있다.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사람들은 이미 약 500년 전부터 해마를 약재로 써 왔다고 한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해마는 신장의 원기를 북돋우고 정력을 강화해 준다고 나와있다. 임상에서 강력한 흥분 강장제로 사용되고 있으며 노인이나 허약한 사람의 정신쇠약에 약효가 있다고 한다. 그밖에도 해마는 천식을 치료하고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며 동맥경화증을 예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 인간의 뇌에도 새끼 손가락만한 해마라는 기관이 있는데, 물고기의 해마와 모양이 닮아서 붙여진 이름이다. 동의보감을 보면 ‘해마는 신장의 원기를 보강하고 남자의 양기를 강하게 해주며, 정액이 냉하고 음경이 위축되.. 더보기
적변현상(피황,황이낀삼)에 대하여,, 파삼 효능,파삼 복용법,산삼 파삼,황낀파삼, 적변현상(피황,황이낀삼)에 대하여,, 이를 다른말로는 피황,황이낀삼, 이라고도 표현하며, 이는 세월이 흘러 우수한 품종에 자연스럽게 우러나는 황갈색 색상과는 달리 산삼이 자생하는 환경이 습하거나 삼을 다른곳으로 옮겨심으며 지하경(몸통)이 공기에 장시간 과다 노출될경우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모든 식물들은 적절한 산소의 공급이 중요한데 지상부(잎)과 같이 지하경(뿌리) 부분도 산소공급을 받아야만 건강하게 자랄수 있습니다. 삼이 자생하는 환경중 (한온풍습),기온,바람,햇빛등과 같이 원활한 배수도 중요합니다. 배수가 안되어 지속적으로 자생조건이 습할경우 지하부에 산소공급이 어려워 심하게 지속될경우 뿌리부터 부패하게되며 스스로가 그 습기를 막고자 특이사포닌을 표피로 내.. 더보기
향이 진하며 맛이 쌉싸름한 맛이나는 장뇌삼,야생삼 임하삼이란산삼 효능,임하삼 효능,파삼 효능,야생삼 효능 장뇌삼(산양삼.산양산삼)하고 임하삼 林下参 구별점 임하삼하고 장뇌삼 (산양삼 )구별점 임하삼은 야생에 씨를 뿌린뒤 자연상태에서 방치해둔 상태에서 자란것입니다 이식해서 옴겨심은 삼 아닙니다 ,야생샘에 가깝습니다 향이 진하며 맛이 쌉싸름하며 산삼 맛 납니다 형태를 보시면 자연스레 뻗었습니다 장뇌삼은 밭에서 인위적으로 관리하면서 키우는 삼입니다 장뇌삼은 옴겨심은 삼입니다 장뇌삼은 향이 진하지 않으며 맛이 쓰거나 아무맛 안나기도 합니다 형태를 보시면 옴겨심은 흔적이 나며 턱수가 발달 되기도 하며 장뇌삼 특유의 형태가 나옵니다 주의 *장뇌삼을 임하삼으로 사칭하는 사기군들 있으니 잘 분별하여 이용하세요 파삼 복용법: 1.깨끗이 씻은뒤 말리워서 임하삼 가루로 복.. 더보기
신경정신과 계통의 약 제조에 많이 사용하는 금박 금박,순박,포장금박지,금박지,순금박,환종이,24K금박,약용금,식용금,먹는금 금박의 효능 금은 무취, 무독성 물질이기에 식용 금박으로 분류가 되기 위해서는 일정 순도를 충족시켜야 한다. 2018년 기준, 식약청에 의하면 국내에서는 95% 이상이어야 식용으로 분류가 되며 EU는 92%, 미국에서는 금을 식용으로 사용할 수 없다. 한방에서는 금이 심장과 간, 신장에 작용해 마음을 진정시키고 전신을 안정시키며 해독작용을 한다고 설명한다. 이런 이유로 우황청심환 같은 신경정신과 계통의 약 제조에 금이 많이 사용된다. 또한 한의학적 치료를 하지 않는 양방에서도 금의 효능을 인정한다. 영국 버밍엄 시립병원의 연구진이 반지를 끼고 다니는 관절염 환자 30명과 그렇지 않은 환자 25명의 손가락을 X선 촬영한 결과, 반지.. 더보기
항암약초로 인기있는 상기생 상기생 ,뽕나무 겨우살이 근래들어 겨우살이가 항암약초로 알려지면서 많은 인기가 있다. 겨우살이는 나무에 기생하는 약초로 한명으로는 유기생.상기생.백기생.여라등으로 구분하여 부르는데 그중 가장 희귀한 것이 소나무에 자생하는 겨우살이로 여라라고 부르는데 매우 희귀하며 각종암에 탁월한 항암효과가 있는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라는 매우귀한 약초다 본인두 십여년전에 강원도 홍천군 동면 공작산에서 소나무 위에 매달린 여라 한포기를 본적이 있다 그래서 이듬해 봄 여라의 사진을 찍기위해 그곳에 갔을때 이미 누군가에 의해 소나무는 도벌된 상태였다. 이후에는 여라를 한번도 본적이 없다. 겨우살이 중 두번째로 귀한것이 뽕나무에 기생하는 겨우살이로 한명으로 상기생이라고 부른다. 상기생 또한 매우귀한 약재로 상기생을 구하지 못하.. 더보기
간열을 내리고 담을 삭이며 출혈을 멈추고 해독하는 송라 송라,소나무 겨우살이,겨우사리 항암작용, 항균작용, 해열, 해독, 진해, 거담, 타박상, 화상, 무좀, 습진, 피부병, 자궁염증, 학질, 두통, 고혈압성두통, 대하, 임파선종, 유선염,변혈, 이상출혈, 옹종, 이뇨, 뱀에물린데, 부인병, 폐결핵, 만성기관지염에효험있는 송라 소나무겨우살이는 지의류의 일종으로 나뭇가지에 붙어 자라며 길이 15~50센터미터나 되고 흰색이 도는 풀색의 실 모양이다. 밑은 직경 0.5~1.5밀리이고 차츰 가늘어지면서 두 갈래씩 가지쳐 내려드리운다. 겉은 가락지 모양으로 잘룩잘룩하다. 깊은산 또는 해발 1,500미터의 분비나무, 가문비나무 등 바늘잎나무가 우거진 그늘지고 습한 곳에서 자란다. 흔히 소나무 가지에 내려드리운다 하여 '송라'라고 한다. 소나무겨우살이의 다른 이름으로는 .. 더보기
파극천 약효와 주치,복용법 파극천(巴戟天) 성질은 약간 따뜻하며[微溫] 맛이 맵고[辛] 달며[甘] 독이 없다. 몽설이 있는 데 쓴다. 또한 음위증(陰痿症)을 치료하고 정(精)을 돕기 때문에 남자에게 좋다. [약효(藥效)와 주치(主治)] 신양(腎陽)을 보양하고 근골을 튼튼하게 하며 풍사(風邪)를 몰아내고 습사(濕邪)를 없애는 효능을 가지고 있다. 음위, 소복냉통, 소변 실금, 자궁 허냉(虛冷), 풍한습비(風寒濕痺), 요슬(腰膝)이 결리고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1, : "대풍사기(大風邪氣), 음위로 인한 발기 불능을 다스린다. 근골을 튼튼하게 하고 오장을 편안히 하며 보중(補中)하고 증지(增志)하며 익기(益氣)한다." 2, : "두면유풍(頭面游風: 두피에 생긴 적유풍:赤游風)이나 소복(小腹)과 음중(陰中)이 서로 당겨서 아픈 증상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