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운풀

소창종옹저약류,소옹해독,청열이습,항암하는 백화사설초,백운풀 백화사설초,백운풀 [백운풀 : 白花蛇舌草(백화사설초)] 백운풀 Hedyotis diffusa Willdenow(꼭두서니과 Rubiaceae)의 전초이다. 백운산 밑에서 처음 발견했기 때문에 백운풀이라고 한다. 꽃은 8~9월에 피고 지름 2mm 정도로서 백색이거나 다소 붉은빛이 돌며 잎겨드랑이에 달리고 꽃자루는 길이 0~3mm이다. 꽃받침은 4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길이 1.5mm 정도로서 뾰족하고 꽃부리는 4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판통과 길이가 비슷하다. 성질은 차며 맛은 달고 쓰다. 淸熱解毒(청열해독), 利濕(이습)하는 효능이 있다. 폐열천수, 인후종통, 장옹, 절종창양, 독사교상, 열림삽통, 수종, 이질, 장염, 濕熱黃疸(습열황달), 암종에 쓴다. 姙娠婦(임신부)에는 愼重(신중)이 사용해야한다. 效能(효.. 더보기
폐열천수, 인후종통, 장옹, 절종창양, 독사교상, 열림삽통 치료하는 백운풀 백화사설초,백운풀 [백운풀 : 白花蛇舌草(백화사설초)] 백운풀 Hedyotis diffusa Willdenow(꼭두서니과 Rubiaceae)의 전초이다. 백운산 밑에서 처음 발견했기 때문에 백운풀이라고 한다. 꽃은 8~9월에 피고 지름 2mm 정도로서 백색이거나 다소 붉은빛이 돌며 잎겨드랑이에 달리고 꽃자루는 길이 0~3mm이다. 꽃받침은 4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길이 1.5mm 정도로서 뾰족하고 꽃부리는 4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판통과 길이가 비슷하다. 성질은 차며 맛은 달고 쓰다. 淸熱解毒(청열해독), 利濕(이습)하는 효능이 있다. 폐열천수, 인후종통, 장옹, 절종창양, 독사교상, 열림삽통, 수종, 이질, 장염, 濕熱黃疸(습열황달), 암종에 쓴다. 姙娠婦(임신부)에는 愼重(신중)이 사용해야한다. 效能(효.. 더보기